회원서비스 | 윤복원의 ‘우주의 비밀, 탐사의 미래’지구위협 시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11-04 13:18 조회1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마케팅프로그램판매
윤복원의 ‘우주의 비밀, 탐사의 미래’지구위협 시나리오(7)2003년에 처음 발견한 세드나의 공전궤도는 명왕성의 공전궤도보다 훨씬 크고 길쭉하다.21세기에 들어서면서 카이퍼대 근처에서 독특한 궤도를 도는 천체들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 출발점은 2003년에 발견된 왜행성급 천체 세드나(90377 Sedna)였다.발견 당시 세드나는 태양에서 89.6AU(1AU는 지구-태양 거리)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인 근일점을 향해 가고 있다. 세드나의 근일점은 76AU로 해왕성 궤도보다 2.5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태양에서 가장 멀어지는 위치인 원일점은 937AU로 해왕성보다 30배 이상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카이퍼대(Kuiper belt)가 태양에서 30~50AU 떨어진 영역이므로, 세드나는 카이퍼대 밖에서 공전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드나의 지름은 약 900km로,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세레스(1 Ceres)의 지름 940km와 비슷한 왜행성급 천체다. 세드나는 태양 주위를 1만1400년에 한 번씩 도는 것으로 추정되며, 공전궤도 기울기는 11.9도로 태양계 행성들에 비해 다소 크게 기울었다.해왕성 너머에서 궤도의 긴반지름(장반경)이 250AU 이상인 공전궤도를 돌고 있는 천체를 ETNO(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라고 부른다. ‘극단적으로 해왕성 너머의 먼 궤도를 도는 천체’를 의미한다. 세드나를 발견한 이후 ETNO로 분류되는 여러 개의 천체를 발견했다. 이들 천체의 근일점은 카이퍼대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 근일점과 원일점의 차이가 큰 긴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 공전궤도 기울기가 상당히 큰 천체들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ETNO들의 근일점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모여 있는 듯한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ETNO로 분류하는 천체들의 궤도는 해왕성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해왕성의 중력이 이들 천체에 끼치는 영향이 상당히 적다. 그런데도 ETNO 천체들이 독특한 공전궤도를 돌고 있다는 것은 현재 알고 있는 태양계 천체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런 와중에 등장한 가설이 제9행성(Planet Nine)이다.세드나 발견으로 시작된 제9행성 가설세드나의 발견은 이후 제9행성 가설로 이어지는 연구의 중요한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근일점이 해왕성보다 2.5배 더 먼 곳에 위치하는 세드나의 독특한 공전궤도도 해왕성 중력이 끼친 영향의 결과로 보기 어려웠다. 세드나를 발윤복원의 ‘우주의 비밀, 탐사의 미래’지구위협 시나리오(7)2003년에 처음 발견한 세드나의 공전궤도는 명왕성의 공전궤도보다 훨씬 크고 길쭉하다.21세기에 들어서면서 카이퍼대 근처에서 독특한 궤도를 도는 천체들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 출발점은 2003년에 발견된 왜행성급 천체 세드나(90377 Sedna)였다.발견 당시 세드나는 태양에서 89.6AU(1AU는 지구-태양 거리)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인 근일점을 향해 가고 있다. 세드나의 근일점은 76AU로 해왕성 궤도보다 2.5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태양에서 가장 멀어지는 위치인 원일점은 937AU로 해왕성보다 30배 이상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카이퍼대(Kuiper belt)가 태양에서 30~50AU 떨어진 영역이므로, 세드나는 카이퍼대 밖에서 공전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드나의 지름은 약 900km로,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세레스(1 Ceres)의 지름 940km와 비슷한 왜행성급 천체다. 세드나는 태양 주위를 1만1400년에 한 번씩 도는 것으로 추정되며, 공전궤도 기울기는 11.9도로 태양계 행성들에 비해 다소 크게 기울었다.해왕성 너머에서 궤도의 긴반지름(장반경)이 250AU 이상인 공전궤도를 돌고 있는 천체를 ETNO(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라고 부른다. ‘극단적으로 해왕성 너머의 먼 궤도를 도는 천체’를 의미한다. 세드나를 발견한 이후 ETNO로 분류되는 여러 개의 천체를 발견했다. 이들 천체의 근일점은 카이퍼대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 근일점과 원일점의 차이가 큰 긴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 공전궤도 기울기가 상당히 큰 천체들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ETNO들의 근일점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모여 있는 듯한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ETNO로 분류하는 천체들의 궤도는 해왕성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해왕성의 중력이 이들 천체에 끼치는 영향이 상당히 적다. 그런데도 ETNO 천체들이 독특한 공전궤도를 돌고 있다는 것은 현재 알고 있는 태양계 천체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런 와중에 등장한 가설이 제9행성(Planet Nine)이다.세드나 발견으로 시작된 제9행성 가설세드나의 발견은 이후 제9행성
마케팅프로그램판매
윤복원의 ‘우주의 비밀, 탐사의 미래’지구위협 시나리오(7)2003년에 처음 발견한 세드나의 공전궤도는 명왕성의 공전궤도보다 훨씬 크고 길쭉하다.21세기에 들어서면서 카이퍼대 근처에서 독특한 궤도를 도는 천체들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 출발점은 2003년에 발견된 왜행성급 천체 세드나(90377 Sedna)였다.발견 당시 세드나는 태양에서 89.6AU(1AU는 지구-태양 거리)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인 근일점을 향해 가고 있다. 세드나의 근일점은 76AU로 해왕성 궤도보다 2.5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태양에서 가장 멀어지는 위치인 원일점은 937AU로 해왕성보다 30배 이상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카이퍼대(Kuiper belt)가 태양에서 30~50AU 떨어진 영역이므로, 세드나는 카이퍼대 밖에서 공전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드나의 지름은 약 900km로,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세레스(1 Ceres)의 지름 940km와 비슷한 왜행성급 천체다. 세드나는 태양 주위를 1만1400년에 한 번씩 도는 것으로 추정되며, 공전궤도 기울기는 11.9도로 태양계 행성들에 비해 다소 크게 기울었다.해왕성 너머에서 궤도의 긴반지름(장반경)이 250AU 이상인 공전궤도를 돌고 있는 천체를 ETNO(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라고 부른다. ‘극단적으로 해왕성 너머의 먼 궤도를 도는 천체’를 의미한다. 세드나를 발견한 이후 ETNO로 분류되는 여러 개의 천체를 발견했다. 이들 천체의 근일점은 카이퍼대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 근일점과 원일점의 차이가 큰 긴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 공전궤도 기울기가 상당히 큰 천체들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ETNO들의 근일점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모여 있는 듯한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ETNO로 분류하는 천체들의 궤도는 해왕성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해왕성의 중력이 이들 천체에 끼치는 영향이 상당히 적다. 그런데도 ETNO 천체들이 독특한 공전궤도를 돌고 있다는 것은 현재 알고 있는 태양계 천체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런 와중에 등장한 가설이 제9행성(Planet Nine)이다.세드나 발견으로 시작된 제9행성 가설세드나의 발견은 이후 제9행성 가설로 이어지는 연구의 중요한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근일점이 해왕성보다 2.5배 더 먼 곳에 위치하는 세드나의 독특한 공전궤도도 해왕성 중력이 끼친 영향의 결과로 보기 어려웠다. 세드나를 발윤복원의 ‘우주의 비밀, 탐사의 미래’지구위협 시나리오(7)2003년에 처음 발견한 세드나의 공전궤도는 명왕성의 공전궤도보다 훨씬 크고 길쭉하다.21세기에 들어서면서 카이퍼대 근처에서 독특한 궤도를 도는 천체들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 출발점은 2003년에 발견된 왜행성급 천체 세드나(90377 Sedna)였다.발견 당시 세드나는 태양에서 89.6AU(1AU는 지구-태양 거리)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인 근일점을 향해 가고 있다. 세드나의 근일점은 76AU로 해왕성 궤도보다 2.5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태양에서 가장 멀어지는 위치인 원일점은 937AU로 해왕성보다 30배 이상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카이퍼대(Kuiper belt)가 태양에서 30~50AU 떨어진 영역이므로, 세드나는 카이퍼대 밖에서 공전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드나의 지름은 약 900km로,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세레스(1 Ceres)의 지름 940km와 비슷한 왜행성급 천체다. 세드나는 태양 주위를 1만1400년에 한 번씩 도는 것으로 추정되며, 공전궤도 기울기는 11.9도로 태양계 행성들에 비해 다소 크게 기울었다.해왕성 너머에서 궤도의 긴반지름(장반경)이 250AU 이상인 공전궤도를 돌고 있는 천체를 ETNO(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라고 부른다. ‘극단적으로 해왕성 너머의 먼 궤도를 도는 천체’를 의미한다. 세드나를 발견한 이후 ETNO로 분류되는 여러 개의 천체를 발견했다. 이들 천체의 근일점은 카이퍼대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 근일점과 원일점의 차이가 큰 긴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 공전궤도 기울기가 상당히 큰 천체들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ETNO들의 근일점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모여 있는 듯한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ETNO로 분류하는 천체들의 궤도는 해왕성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해왕성의 중력이 이들 천체에 끼치는 영향이 상당히 적다. 그런데도 ETNO 천체들이 독특한 공전궤도를 돌고 있다는 것은 현재 알고 있는 태양계 천체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런 와중에 등장한 가설이 제9행성(Planet Nine)이다.세드나 발견으로 시작된 제9행성 가설세드나의 발견은 이후 제9행성
마케팅프로그램판매
답변
답변 준비중입니다.
공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