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 베트남 티엔장성 TPD 해상풍력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9 12:55 조회15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베트남 티엔장성 TPD 해상풍력
베트남 티엔장성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 사진 SK이노베이션 E&S 지난 13일(현지시간) 베트남 최남단 메콩델타 티엔장성. 호치민에서 차량으로 약 두 시간을 달려 도착한 이곳은 메콩강 하류가 바다와 맞닿는 곳이다. 벤짜우 선착장에서 다시 모터보트를 타고 30분가량 물살을 가르며 나아가자 탄푸동(TPD)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모습을 드러냈다. 광활한 해상 위로 거대한 풍력 터빈들이 ‘쉭쉭’ 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있었다. 전체 면적 약 25만 제곱미터. 축구장 25개 규모에 달하는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는 티엔장 지역 내 최대 규모이자 상업 가동에 들어간 첫 해상풍력 프로젝트다. 총 사업비는 약 4500억원으로, 2021년 10월 50MW규모의 1단계 사업을 시작으로 2023년 5월 100MW 규모의 2단계 사업까지 마무리되며 준공을 마쳤다.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는 베트남 현지 재생에너지기업 GEC와 SK이노베이션 E&S가 각각 55%, 45% 지분을 갖고 있다. SK이노베이션 E&S가 보유한 글로벌 재생에너지 자산 중 가장 큰 규모이기도 하다. 베트남 티엔장성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 사진 SK이노베이션 E&S 풍력 터빈에 정박한 후 약 10m 높이의 외벽 사다리를 오르자, 수평선 너머로 줄지어 늘어선 터빈들이 한눈에 들어왔다. 단지 내 설치된 풍력 터빈은 총 36기로 각 터빈은 높이 105m, 블레이드(날개) 하나의 길이만 해도 75m에 이르는 대형 구조물이다. 이날은 풍속이 약 7m/s 수준으로 강한 편은 아니었지만 터빈은 일정한 속도로 꾸준히 회전하고 있었다. 권기혁 SK E&S 베트남 사무소장은 “평균 풍속은 6~8m/s 정도이며 강풍이 부는 날에는 10m/s를 넘기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각 터빈은 4.2MW급으로 하루 평균 약 35MWh의 전력을 생산한다. 지난해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전체 발전량은 443GWh로, 이는 베트남 기준 약 2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생산한 전력은 베트남 국영전력회사(EVN)와 장기 고정가 계 미국 매사추세츠주 피바디에섹스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1799년 설립돼 미국 박물관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매사추세츠주 피바디에섹스박물관의 한국실이 새롭게 단장했다. 지난 17일 개편된 한국실 이름은 ‘유길준 한국실’(Yu Kil-chun Gallery of Korean Art and Culture)로 조선 말기 개화기의 일상용품부터 현대미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미국을 잇는 발자취가 232㎡ 규모 공간에 고스란히 담겼다.한국실 명칭은 한국 최초의 국비 유학생이자 개화 사상가인 유길준(俞吉濬, 1856~1914)의 이름을 따왔다. 유길준은 1883년 미국 보빙사 일원으로 미국을 방문해 당시 피바디박물관 전신인 피바디과학관의 에드워드 모스 관장과 인연을 맺었다. 당시 모스 관장은 고종의 외교 고문인 독일인 묄렌도르프에게 한국 유물 225점을 구입했다. 이때 소장품 수집의 초석을 다질 수 있도록 자문한 이가 유길준이다. 재개관한 전시장에서는 유길준이 기증한 의복과 소장품, 그리고 돌아가는 배편에서 모스에게 쓴 편지를 만날 수 있다. 유길준(俞吉濬, 1856~1914) [국립중앙박물관] 피바디에섹스박물관 ‘유길준 한국실’ [국립중앙박물관] 특히 한국실에서는 19세기 말, 동서양이 마주하던 격변의 시대를 고스란히 담은 근대 공예품들이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조선과 미국 외교관 및 선교사 간 교류의 산물로 한국 전통 재료인 말총으로 만든 서양식 신사 모자, ‘폴링 부인’이라는 한글 표기가 새겨진 은제함, 1893년 시카고박람회에 출품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의자 등 다채로운 유물이 전통의 변주와 근대적 감각을 보여준다.이외에도 박물관 소장품 중에는 미국 외교관들이 수집한 흥미로운 유물도 있다. 이번에 최초로 공개된 이범진(李範晉, 1852~1911) 가족사진이 대표적이다. 1896년부터 1900년 초까지 주미 공사를 지낸 이범진은 워싱턴에서 3년 반 동안 체류하면서 대한제국 마지막 미국 공사였던 에드윈 모건과 깊이 교류했다. 한국으로 발령받은 모건이 향수병에 걸린 이범진 아내의 귀국길에 동행하기도 했다. 백남준의 ‘Ceramic Vessel’ [국립중앙
베트남 티엔장성 TPD 해상풍력
베트남 티엔장성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 사진 SK이노베이션 E&S 지난 13일(현지시간) 베트남 최남단 메콩델타 티엔장성. 호치민에서 차량으로 약 두 시간을 달려 도착한 이곳은 메콩강 하류가 바다와 맞닿는 곳이다. 벤짜우 선착장에서 다시 모터보트를 타고 30분가량 물살을 가르며 나아가자 탄푸동(TPD)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모습을 드러냈다. 광활한 해상 위로 거대한 풍력 터빈들이 ‘쉭쉭’ 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있었다. 전체 면적 약 25만 제곱미터. 축구장 25개 규모에 달하는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는 티엔장 지역 내 최대 규모이자 상업 가동에 들어간 첫 해상풍력 프로젝트다. 총 사업비는 약 4500억원으로, 2021년 10월 50MW규모의 1단계 사업을 시작으로 2023년 5월 100MW 규모의 2단계 사업까지 마무리되며 준공을 마쳤다.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는 베트남 현지 재생에너지기업 GEC와 SK이노베이션 E&S가 각각 55%, 45% 지분을 갖고 있다. SK이노베이션 E&S가 보유한 글로벌 재생에너지 자산 중 가장 큰 규모이기도 하다. 베트남 티엔장성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 사진 SK이노베이션 E&S 풍력 터빈에 정박한 후 약 10m 높이의 외벽 사다리를 오르자, 수평선 너머로 줄지어 늘어선 터빈들이 한눈에 들어왔다. 단지 내 설치된 풍력 터빈은 총 36기로 각 터빈은 높이 105m, 블레이드(날개) 하나의 길이만 해도 75m에 이르는 대형 구조물이다. 이날은 풍속이 약 7m/s 수준으로 강한 편은 아니었지만 터빈은 일정한 속도로 꾸준히 회전하고 있었다. 권기혁 SK E&S 베트남 사무소장은 “평균 풍속은 6~8m/s 정도이며 강풍이 부는 날에는 10m/s를 넘기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각 터빈은 4.2MW급으로 하루 평균 약 35MWh의 전력을 생산한다. 지난해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전체 발전량은 443GWh로, 이는 베트남 기준 약 2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생산한 전력은 베트남 국영전력회사(EVN)와 장기 고정가 계 미국 매사추세츠주 피바디에섹스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1799년 설립돼 미국 박물관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매사추세츠주 피바디에섹스박물관의 한국실이 새롭게 단장했다. 지난 17일 개편된 한국실 이름은 ‘유길준 한국실’(Yu Kil-chun Gallery of Korean Art and Culture)로 조선 말기 개화기의 일상용품부터 현대미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미국을 잇는 발자취가 232㎡ 규모 공간에 고스란히 담겼다.한국실 명칭은 한국 최초의 국비 유학생이자 개화 사상가인 유길준(俞吉濬, 1856~1914)의 이름을 따왔다. 유길준은 1883년 미국 보빙사 일원으로 미국을 방문해 당시 피바디박물관 전신인 피바디과학관의 에드워드 모스 관장과 인연을 맺었다. 당시 모스 관장은 고종의 외교 고문인 독일인 묄렌도르프에게 한국 유물 225점을 구입했다. 이때 소장품 수집의 초석을 다질 수 있도록 자문한 이가 유길준이다. 재개관한 전시장에서는 유길준이 기증한 의복과 소장품, 그리고 돌아가는 배편에서 모스에게 쓴 편지를 만날 수 있다. 유길준(俞吉濬, 1856~1914) [국립중앙박물관] 피바디에섹스박물관 ‘유길준 한국실’ [국립중앙박물관] 특히 한국실에서는 19세기 말, 동서양이 마주하던 격변의 시대를 고스란히 담은 근대 공예품들이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조선과 미국 외교관 및 선교사 간 교류의 산물로 한국 전통 재료인 말총으로 만든 서양식 신사 모자, ‘폴링 부인’이라는 한글 표기가 새겨진 은제함, 1893년 시카고박람회에 출품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의자 등 다채로운 유물이 전통의 변주와 근대적 감각을 보여준다.이외에도 박물관 소장품 중에는 미국 외교관들이 수집한 흥미로운 유물도 있다. 이번에 최초로 공개된 이범진(李範晉, 1852~1911) 가족사진이 대표적이다. 1896년부터 1900년 초까지 주미 공사를 지낸 이범진은 워싱턴에서 3년 반 동안 체류하면서 대한제국 마지막 미국 공사였던 에드윈 모건과 깊이 교류했다. 한국으로 발령받은 모건이 향수병에 걸린 이범진 아내의 귀국길에 동행하기도 했다. 백남준의 ‘Ceramic Vessel’ [국립중앙
베트남 티엔장성 TPD 해상풍력
답변
답변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