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남구의 자택 서재에서 ‘사자성어 큰사전’을 펴든 임무출 박사는 “우리의 삶에는 모순이 있어도 사자성어에는 모순이 없다”고 했다./김동환 기자 14년 전의 일이었다.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던 어린 손주가 꿈에 나타나 물었다. “할아버지, 미인박명(美人薄命)이 무슨 뜻이에요?” 잠을 깨고 나서 결심한 것이 있었다. ‘더 늦기 전에 사자성어(四字成語) 사전을 편찬해야겠다!’ 경북 경산의 진량중·고교에서 국어교사로 일하다 정년을 맞을 무렵이었다.“이제야 완성했습니다.” 지난 7일 대구 남구 자택에서 만난 임무출(77) 박사가 크고 두꺼운 책 두 권을 책상에 올려놨다. 종이 사전이 멸종된 듯한 2025년에 나온 신간이라곤 믿기지 않았다. 그가 혼자 집필한 ‘사자성어 큰사전’(박이정)은 원고지 3만여 장, 3044쪽 분량에 8070개 표제어를 수록한 국내 최대 분량의 사자성어 사전이다.그는 과거에도 사전 편찬으로 주목을 받았었다. 근대 문학작품의 어휘들을 해설한 ‘채만식 어휘사전’ ‘김유정 어휘사전’ 등을 냈다. 영남대 재학 시절 스승이 붙여 준 ‘의지의 사나이’라는 별명에 이어 한 일간지 기자로부터 ‘천연기념물’이란 별명까지 얻었다.왜 사자성어 사전을 썼나? “그 짧은 말 속에 역사와 의미와 교훈과 지혜가 함축적으로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사자성어는 불멸의 언어입니다. 이 어려운 시대에 오직 사자성어만이 동네 어귀의 수백 년 된 느티나무처럼 지치지 않고 우리와 함께 머물며 우리말을 더욱 풍요롭게 하죠. 삶엔 모순이 있어도 사자성어엔 모순이 없습니다.”그러나 그 일은 돌을 깨서 산을 옮기는 우공이산(愚公移山)의 길고 지난한 가시밭길이었다. “왜 돈도 안 되는 일에 매달리느냐”는 잔소리와 “인터넷 찾아보면 다 나오는데 뭐 하러…”라는 핀잔을 듣기 일쑤였다.그러나 막상 인터넷엔 부정확한 정보가 넘쳐났다. 의외로 자료가 빈약했고, 출전이라고 알려진 책을 찾아보니 그런 말이 없는 경우도 수두룩했다. 에둘러 해석한 의역만 많을 뿐 글자 하나하나를 정확히 짚어 해석한 직역은 거의 없었다.■ 글 : 정승조 아나운서 ■‘낙원’에 가본 적 있으신가요?저는 아직 못 가봤는데요.대신 ‘우리들의 낙원’ 전시에 다녀왔습니다.그런데 말이죠.낙원이란 게 생각보다 만만치 않더군요.행복이란 것도 그렇죠.눈앞에 있는 것 같다가도 손에 잡히지 않고, 가까운 듯 멀고, 멀어진 듯 다시 가까워지는 묘한 느낌이 듭니다.한마디로 참 오묘해요.전시장을 걷다 보면 ‘낙원은 어디에?’라는 질문을 저절로 던지게 되는데요.이번 전시에는 한국의 현대 작가 21명이 참여했고요.VR, 몰입형 미디어아트, 인공지능까지!요즘 낙원은 꽤나 테크놀로지에 진심입니다.어쩌면 낙원은 멀리서 찾는 게 아니라, 잠시라도 느끼고 웃는 그 순간에 있는 건 아닐까요?정승조의 아트홀릭은 문화역서울284의 전시 ‘우리들의 낙원’를 기획한 최진희 전시예술감독을 만났습니다.▮ '낙원’이라는 주제를 택하셨어요. 특별한 이유가 있었을까요? 황세진(스튜디오레논), 금강내산 허(虛)와 실(實)의 조화, 2024, 단채널 영상, 컬러, 사운드, 간송미술문화재단, 스튜디오 레논 소장 이번 전시는 '행복 추구'와 '이상향(낙원)'에 관한 전시입니다.한국의 현대 작가들이 이 주제를 어떻게 그리는지에 관한 탐색 과정에서요. 다양한 사회적 의미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점도 전시의 또 다른 매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우선 문화의 정체성을 알아보는 측면에서 보면요. 이상향(낙원)이라는 주제는 한국의 멋지고 아름다운 이상향에 대한 예술적인 이미지들을 소개하는 전시가 될 겁니다. 이상향에 관한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윤리 도덕적인 기준점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고요. 따라서 우리들의 낙원을 주제로 형상화된 예술 작품들은 한국인의 이상적인 공동체적 가치지향점과 그 안에 개인적인 가치지향점까지도 드러내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다음으로 현재 한국 사회의 문제들을 성찰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입니다.전통적으로 이상향(낙원)은 인간이 평화롭고요.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장소의 개념이 우선이었습니다. 반면 현대의 이상향은 도시화, 산업화, 자본주의의 소비주의 같은 환경에서요. 자연은 소외되고 있는 환경 문제처럼 공동체적인 문제들은 물론이고요. 달라진 환경에서 살아가는 개개인의 취향과 욕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