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전 열린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의 추자해상풍력사업 관련 기자 간담회. ⓒ헤드라인제주 이미 공정성과 특혜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제주 추자도 해상풍력사업과 관련해 제주 시민단체가 제주도는 이미 수요 보다 많은 발전 설비를 갖고 있다며 사업의 철회를 요구했다.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은 11일 오전 민주노총 세미나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가졌다.제주행동은 "(추자해상풍력발전단지) 도입했을 때 문제라던가 이런 부분은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며 "근본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짚고자 한다"고 간담회 배경을 설명했다.김정도 기후해양정책연구소 코리 연구실장은 추자도 해상풍력사업 추진과 관련해 △계통연계 불가능 △규모 적정성 △공익에 미부합 △지자체 간 갈등 문제 등 4가지 문제를 지적했다.그는 "제주도내 대규모 재생에너지 생산을 뒷받침할 구체적인 계통연계 방안은 존재하지 않다"며 "현재도 계통 문제로 재생에너지 신규허가가 멈춘 상태"라고 주장했다.이어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이 있다고는 하지만 제주발 전력을 수용하는 구조로 계획되지 않았다"며 "이는 전라남도의 전기를 수도권으로 올려보내는 용도이고, 전라남도의 출력제한 조치가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또 "대규모의 해상풍력을 추진하게 되면, 제주도 본섬내 태양광 및 소규모 육상 풍력, 수백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 허가는 어렵다"며 "제주도 본섬에서의 새로운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이 장기간 멈춰서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실장은 "규모가 적정한지도 의문"이라며 "LNG발전소 추가 건립계획이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진행 중인 상황이고, 지난해 최대전력이 사용된 8월 5일 오후 2시 당시 예비력은 262MW 였다. 이미 수요보다 많은 발전 설비를 가진 제주도"라고 주장했다. 이어 "도내 재생에너지 생산도 100% 수용 못하는 상황인데 추가로 대규모풍력 발전 사업이 수용가능한가"라며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화력발전에 대한 퇴출 계획은 없고, 대규모 풍력발전 보급에 따른 수요, 에너지 말레이서 악수하는 한미일 외교장관 (서울=연합뉴스) 박윤주 외교부 제1차관(오른쪽)이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에 앞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가운데),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7.11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쿠알라룸푸르·워싱턴=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박성민 특파원 = 한미일은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회의를 계기로 외교장관회의를 열고 3국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이날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회의에서 한반도 및 지역 정세, 3국 간 경제협력 증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외교부에 따르면 한미일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가 확고함을 재확인하고, 3국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강력한 대북 억제를 유지하며 한미일 안보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박 차관은 이와 관련, 남북 간 긴장 완화와 대화 재개를 위한 우리의 노력을 설명하고 미·일 측과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3국은 역내 정세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하고, 인태 지역 평화와 안정 유지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3국은 또 에너지·조선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한편, 핵심광물을 포함한 공급망 안정, 인공지능 등 핵심·신흥 기술 분야 협력도 심화하기로 했다.박 차관은 아울러 최근 한미일 기술 리더 연수 프로그램 및 제2차 미래세대 리더 서밋 등 3국 차세대 교류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평가했고, 3국은 이런 모멘텀을 이어 나가 한미일 협력의 미래 동력을 강화해 나갈 필요성에 공감했다.한미일은 앞으로도 각급에서 계속 긴밀히 소통하며 한미일 협력의 구체적 성과를거두기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박 차관은 회의에서 "(차관) 취임 후 첫 소다자 회의로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한 것은 국익 중심 실용외교 기조 하에서 한미일 협력을 지속 발전시키고자 하는 우리 정부의 의